대용량 데이터
대용량 데이터의 기준은 뭘까?
일반적으로는 사람들이 다뤄보지 않은 데이터의 수준을 대용량 데이터라고 하는 것 같다.
그래서 회사마다 기준이 다르겠지만, 대용량 데이터의 기준은 1PB라고 말하곤 한다.
MongoDB는 대용량 데이터를 위한 DB일까?
MongoDB는 1PB의 데이터를 감당할 수 있을까..?
MongoDB Atlas에서 어느정도 스펙까지 서버를 제공해주는 지를 보면 객관적인 수치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MongoDB Atlas에서 제공해주는 크기(조율이 가능) 중 가장 높은 스펙의 경우 RAM = 768GB, Storage(SSD) = 4096GB 이다. 즉 Storage는 4TB이고 기본 운영에도 스토리지가 사용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300대가 있으면 1PB를 커버할 수 있다.
1PB = 4TB (Sharded Cluster) * 300 정도
참고로 4TB 클러스터 300대면 MongoDB Atlas 기준 1년에 1200억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한다.
결론적으로 1PB를 운영할 수는 있다.
실제 관리 측면
실제로 관리하는 측면에서는 MongoDB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데이터는 아닐 수 있다.
MongoDB는 1PB 정도의 환경이 되면 MongoDB답게 사용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 복제, 복구 데이터 밸런싱에 추가 작업 발생
- 확장시 밸런싱으로 인한 부하 발생
- Index 생성 시 오래 걸려서 실패가 빈번하게 발생
- 각 Shard에서 Rolling으로 생성해야 함
- 데이터가 쌓일 수록 속도가 저하된다.
- 아카이빙이 필요하게 됨 (오래된 데이터는 따로 보관하고 실제로 사용할 데이터만 보관)
그래서 1PB를 기준으로 본다면 MongoDB는 대용량 데이터가 아닐 수 있다.
그것보다는 고성능으로 OLTP 성 데이터를 다루는 서비스에 가깝다. (아래에서 설명한다.) 단, 100TB 이하정도라면 MongoDB에서도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다고 한다.
OLTP
OLTP(Online Transactional Processing)의 경우 아래의 특징을 가진 서비스이다.
- 대량의 Transaction을 처리
- 간단한 쿼리
- CRUD가 다양하게 사용
- 빠른 응답 속도 필요
- Business Operations
Mongo의 경우 OLTP에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은행이나 증권처럼 데이터의 안전성과 일관성이 중요한 경우에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트랜잭션이 많이 발생하더라도
Mongo와 같은 NoSQL보다는 RDBMS가 더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NoSQL도 ACID를 준수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어서, NoSQL을 사용하는 금융 기관도 늘고 있는 추세다.
OLAP
OLAP(Onnline Analytical Processing)의 경우 OLTP와는 정반대의 성격을 가진다.
-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
- 복잡한 쿼리
- SELECT(Aggregation) 기반
- 응답 속도보다는 많은 량의 데이터에 집중
- Business Decisioning
OLAP의 대표적인 예로는 Wide Column Database가 있다.
- HBase, Cassandra
- Wide Column Database는 대용량 파일 시스템 기반으로 동작
- HBase의 경우 Hadoop 위에서 돌아간다.
- Row 단위가 아니라, col 단위로 저장하기 때문에 분석이 용이함
- 만약 어떤 Collection의 price 평균을 구하겠다고 하면 일반적인 Row 기반 같은 경우에는 필요 없는 데이터도 다 메모리에 올려야하는 문제가 발생 -> Wide Column Based에서는 이를 해결
- PK 이외의 Index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Database > No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Cluster(레디스 클러스터) 이해하기! (0) | 2023.03.27 |
---|---|
NoSQL - MongoDB 다양한 데이터 모델링 기법! (0) | 2023.03.21 |
ElasticSearch 이해하기! (0) | 2023.02.23 |
레디스 데이터 타입 정리! (0) | 2022.12.29 |
MongoDB란 무엇인가?! (기본 이해하기!)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