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Coroutine은 AbstractCoroutine을 상속한다.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Coroutine<in T>(
parentContext: CoroutineContext,
initParentJob: Boolean,
active: Boolean
) : JobSupport(active), Job, Continuation<T>, CoroutineScope { ... }
아래는 Coroutine의 특징이다.
- Coroutine은 Job, Continuation, CoroutinScope를 구현한다.
- CoroutineScope: Coroutine builder로 자식 Coroutine을 생성하고 관리
다음으로 CoroutineScope에 대해 알아보자.
CoroutineScope
CoroutineScope는 Coroutine들에 대한 Scope를 정의한다.
- 각 Coroutine들은 Scope를 가진다.
- Scope는 자식 Coroutine들에 대한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 자식 Coroutine이 모두 완료되어야 Scope도 완료된다.
- 내부 CoroutineContext에 Job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CoroutineScope는 CoroutineContext를 가진다. Scope를 통해 자식 코루틴에게 CoroutineContext를 전파하게 된다.
Coroutine Builder
Coroutine Builder는 CoroutineScope로부터 Coroutine을 생성한다. 생성된 Coroutine은 비동기로 동작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시로 launch가 있다.
launch
launch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public fun CoroutineScope.launch(
context: CoroutineContext = EmptyCoroutineContext,
start: CoroutineStart = CoroutineStart.DEFAULT,
block: suspend CoroutineScope.() -> Unit
): Job {
// 새로운 Context를 생성
val newContext = newCoroutineContext(context)
// 새로운 Context로 코루틴 생성
val coroutine = if (start.isLazy)
LazyStandaloneCoroutine(newContext, block) else
StandaloneCoroutine(newContext, active = true)
coroutine.start(start, coroutine, block)
return coroutine
}
기존 Context를 활용해서 새로운 Context를 만든다.
아래 코드를 보자.
fun main() {
runBlocking {
val cs = CoroutineScope(EmptyCoroutineContext)
log.info("job: {}", cs.coroutineContext[Job])
val job = cs.launch {
// coroutine created
delay(100)
log.info("context: {}", this.coroutineContext)
log.info("class name: {}", this.javaClass.simpleName)
log.info("parentJob: {}", this.coroutineContext[Job]?.parent)
}
log.info("start")
job.join()
log.info("finish")
}
}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
40:43 [main] - job: JobImpl{Active}@229d10bd
40:43 [main] - start
40:43 [DefaultDispatcher-worker-1] - context: [StandaloneCoroutine{Active}@15439c7c, Dispatchers.Default]
40:43 [DefaultDispatcher-worker-1] - class name: StandaloneCoroutine
40:43 [DefaultDispatcher-worker-1] - parentJob: JobImpl{Active}@229d10bd
40:43 [main] - finish
launch를 실행한 Job과 launch 내부 Context Job의 부모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아래 코드를 보자.
fun main() {
runBlocking {
val parent = launch {
launch {
delay(100)
log.info("finish sub1")
}
launch {
delay(100)
log.info("finish sub2")
}
launch {
delay(100)
log.info("finish sub3")
}
}
log.info("parent start")
parent.join()
log.info("parent end")
}
}
아래는 결과이다.
35:16 [main] - parent start
35:16 [main] - finish sub1
35:16 [main] - finish sub2
35:16 [main] - finish sub3
35:16 [main] - parent end
sub 잡이 모두 실행된 후 parent.join()
이 완료로 처리된다. 이는 부모 Job이 자식 Job의 생명주기를 관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launch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한다. 하지만, join()
이 완료될 때까지 suspend가 되어서 end는 잡이 실행된 이후에 실행된다.
async
launch와 유사한 메서드로 async가 있다.
public fun <T> CoroutineScope.async(
context: CoroutineContext = EmptyCoroutineContext,
start: CoroutineStart = CoroutineStart.DEFAULT,
block: suspend CoroutineScope.() -> T
): Deferred<T> {
val newContext = newCoroutineContext(context)
val coroutine = if (start.isLazy)
LazyDeferredCoroutine(newContext, block) else
DeferredCoroutine<T>(newContext, active = true)
coroutine.start(start, coroutine, block)
return coroutine
}
launch와의 유일한 차이는 Job을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Deffered를 반환하는 것이다.
Deffered 인터페이스는 아래와 같다.
public interface Deferred<out T> : Job {
public suspend fun await(): T
}
Deffered는 await()
을 통해 원하는 시점 반환하는 값에 접근할 수 있다.
Structured concurrency
동시성 코드를 구조적으로 작성하는 동시성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Structured Concurrency라고 부른다.
CoroutineScope는 Structured concurrency를 적용하고 있다.
아래 비동기 코드를 보자.
private fun nonStructured() {
log.info("step 1")
CompletableFuture.runAsync {
Thread.sleep(1000)
log.info("Finish run1")
}
log.info("step 2")
CompletableFuture.runAsync {
Thread.sleep(100)
log.info("Finish run2")
}
log.info("step 3")
}
fun main() {
log.info("Start main")
nonStructured()
log.info("Finish main")
Thread.sleep(3000)
}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
18:39 [main] - Start main
18:39 [main] - step 1
18:39 [main] - step 2
18:39 [main] - step 3
18:39 [main] - Finish main
18:39 [ForkJoinPool.commonPool-worker-2] - Finish run2
18:40 [ForkJoinPool.commonPool-worker-1] - Finish run1
비동기 코드는 실행하는 채로 흐름을 그대로 가져가고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Finish main"보다 "Finish run"이 늦게 출력된다.
다음은 코루틴 코드를 보자.
private suspend fun structured() = coroutineScope {
log.info("step 1")
launch {
delay(1000)
log.info("Finish launch1")
}
log.info("step 2")
launch {
delay(100)
log.info("Finish launch2")
}
log.info("step 3")
}
fun main() = runBlocking {
log.info("Start runBlocking")
structured()
log.info("Finish runBlocking")
}
아래는 실행 결과이다.
20:54 [main] - Start runBlocking
20:54 [main] - step 1
20:54 [main] - step 2
20:54 [main] - step 3
20:54 [main] - Finish launch2
20:55 [main] - Finish launch1
20:55 [main] - Finish runBlocking
비동기 코드와 결과가 다른 점은 "Finish runBlocking"이 마지막에 출력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여러 동시성 코드를 같은 생명주기를 갖게 만들고, 해당 동작들이 모두 완료되어야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코루틴도 자식 코루틴(별도 쓰레드의 동작들)이 모두 종료되어야 해당 코루틴이 끝난 것으로 처리된다.
이를 구조화된 동시성(Structured concurrency) 이라 한다.
Cancellation
구조화된 동시성의 또 하나의 특징은 cancel이 발생하면 자식 coroutine까지 전파한다는 점이다.
아래 코드를 보자.
private suspend fun structured() = coroutineScope {
launch {
try {
delay(1000)
log.info("Finish launch1")
} catch (e: CancellationException) {
log.info("Job1 is cancelled")
}
}
launch {
try {
delay(500)
log.info("Finish launch2")
} catch (e: CancellationException) {
log.info("Job2 is cancelled")
}
}
this.cancel()
}
fun main() = runBlocking {
log.info("Start runBlocking")
try {
structured()
} catch (e: CancellationException) {
log.info("Job is cancelled")
}
log.info("Finish runBlocking")
}
structured()
를 보면 마지막에 cancel()
을 호출하고 있다. 아래는 실행 결과이다.
26:57 [main] - Start runBlocking
26:57 [main] - Job1 is cancelled
26:57 [main] - Job2 is cancelled
26:57 [main] - Job is cancelled
26:57 [main] - Finish runBlocking
자식 코루틴에서도 CancellationException
이 발생해서 로그가 찍힌 것을 볼 수 있다.
방향
Job의 실패는 부모에서 자식으로는 전파되지만, 자식에서 부모로 전파되지는 않는다.
아래 코드를 보자.
fun main() {
runBlocking {
val parentJob = launch {
val job1 = launch {
try {
delay(1000)
log.info("job1 Success")
} catch (e: Exception) {
log.info("job1 Cancelled")
}
}
launch {
try {
delay(1000)
log.info("job2 Success")
} catch (e: Exception) {
log.info("job2 Cancelled")
}
}
delay(100)
job1.cancel()
}
parentJob.join()
log.info("job is cancelled: {}", parentJob.isCancelled)
}
}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
23:39 [main] - job1 Cancelled
23:40 [main] - job2 Success
23:40 [main] - job is cancelled: false
주목해야할 점은 아래와 같다.
- Job1을 취소했을 때 Job2는 취소되지 않았다.
- Job1을 취소했을 때 ParentJob은 취소되지 않았다.
Cancellation은 부모에서 자식으로는 전파되지만, 자식에서 부모로는 전파되지 않는다.
Exception
Cancellation은 자식에서 부모로 전파되지 않는다. 하지만 예외가 터지는 경우는 다르다.
아래 코드를 보면 parentJob이 job1, job2를 가지고, job1에서 예외를 발생시킨다.
fun main() {
lateinit var job2: Job
runBlocking {
val parentJob = CoroutineScope(Dispatchers.Default).launch {
launch {
delay(100)
throw IllegalStateException()
}
job2 = launch {
try {
delay(1000)
log.info("job2 success")
} catch (e: Exception) {
log.info("job2 Exception")
}
}
}
parentJob.join()
log.info("job2 is cancelled: {}", job2.isCancelled)
log.info("parentJob is cancelled: {}", parentJob.isCancelled)
}
}
결과는 아래와 같다.
50:44 [DefaultDispatcher-worker-2] - job2 Exception
Exception in thread "DefaultDispatcher-worker-2"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t com.grizz.wooman.coroutine.scope.LeafCoroutineExceptionExampleKt$main$1$parentJob$1$1.invokeSuspend(LeafCoroutineExceptionExample.kt:14)
at kotlin.coroutines.jvm.internal.BaseContinuationImpl.resumeWith(ContinuationImpl.kt:33)
at kotlinx.coroutines.DispatchedTask.run(DispatchedTask.kt:106)
at kotlinx.coroutines.scheduling.CoroutineScheduler.runSafely(CoroutineScheduler.kt:584)
at kotlinx.coroutines.scheduling.CoroutineScheduler$Worker.executeTask(CoroutineScheduler.kt:793)
at kotlinx.coroutines.scheduling.CoroutineScheduler$Worker.runWorker(CoroutineScheduler.kt:697)
at kotlinx.coroutines.scheduling.CoroutineScheduler$Worker.run(CoroutineScheduler.kt:684)
Suppressed: kotlinx.coroutines.internal.DiagnosticCoroutineContextException: [StandaloneCoroutine{Cancelling}@7cbbb8d9, Dispatchers.Default]
50:44 [main] - job2 is cancelled: true
50:44 [main] - parentJob is cancelled: true
Job1에서 Exception이 발생해서 parentJob을 cancel 했고, parentJob의 자식인 Job2도 Cancel로 처리되었다. 자식 코루틴에서 Exception이 발생하면 부모까지 전파가되어서 Cancel이 되는 것이다.
참고로 SupervisorJob
을 사용하면 Exception이 발생해도 Cancellation이 자식으로만 전파되고, 부모로는 전파되지 않는다.
이렇게 부모 Job과 자식 Job 간의 생명주기(완료 여부, 취소 여부 등)를 어떻게 설정할 지 명시하는 것이 CoroutineScope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참고
'Language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 적절한 Scope Function 선택하기! (0) | 2024.05.06 |
---|---|
[Kotlin] 코루틴 - CoroutineContext 이해하기! (0) | 2024.04.14 |
[Kotlin] 코루틴 - suspend 키워드 이해해보기! (0) | 2024.04.02 |
Ktlint에서 라인 생성 Rule을 Disabled하기! (0) | 2024.03.02 |